▣ ABC분석 * 1951년 미국의 데키는 로렌츠 커브를 발전시켜 ABC분석법을 재고관리를 위해 발표했습니다. ABC분석 방법은 어느 대상을 A~C로 구분하여 큰 것부터 배열한 뒤 가로축과 세로축의 %를 읽어 나감으로 로렌츠 커브의 단점을 극복하고 있습니다. 데키는 ABC분석을 재고관리로 발표했지만 오늘날에는 재고관리부터 경영관리에 있어 중점화 분석 방법으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이 ABC분석의 방법은 미국의 GE(General Electric Co.)에서 실용화되어 큰 성과를 올리게 되었습니다. 생산라인과 관련하여 적용할 때는 로렌츠 곡선을 Product의 P를 취하여 PQ분석이라고도 합니다. 일본의 물류컨설턴트인 스즈키는 이러한 분석에 있어 제품의 출하량, 출하선과 출하량과의 관계를 Entry(주문..
▣ 물류 Data 분석의 목적은? * 물류 Data 조사, 분석의 목적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물류 System을 설계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분석을 할 경우에는 물류 Data의 조사, 분석의 목적은 현재(As-Is)의 물동량의 규모를 정량적으로 파악한 뒤 적용대상의 물류시스템의 재고와 출고 특성을 파악하며 설계의 기준이 되는 목표(Goal)년도의 설계 Data 작성을 위한 기준 Data 산정에 있습니다. 이러한 Data를 산정하면 물류 특성에 맞는 적합한 설비를 선정할 수 있게 됩니다. 분석하는 Data의 양이 방대해져 목적을 잃어버리면 의미 없는 분석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어떤 결과의 값을 도출하기 위해 분석하는지 명확하게파악하고 업무를 실천해야 합니다. 물류 설비의 선정에 있어 기본적인 Data에는 EQ..
▣ Data 예측이란? * 현상 물량 데이터 분석 후 장래 입하, 출하, 재고량의 변화에 대해 예측하여 목표연도의 설계치를 수립해야 합니다. 이 때 하나의 방법으로서 목표 매출액에 비례로 하여 예측하기도 하지만 자주 사용되는 방법이 최소이승법(Least Square Method)에 의한 회귀분석 예측입니다. 이 방식은 일간, 월간, 연간 등 시계열 변화를 직선 or 곡선으로 연계시켜 장래를 예측하는 것입니다. PC 프로그램으로 개발 및 일반화되어 판매되기도 하며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수량 예측이 가능해집니다. 이외에도 수요 예측을 이용하면 장래 물동량 예측이 가능해집니다. 수요예측은 의견조사에 의한 수요예측법과 시계열분석에 의한 수요예측법이 있습니다. 의견조사에 의한 방법은 의견 제시자들의 주..
▣ KJ법 * 일본인(Kawakida Jiro)의 발상을 기본으로 개발된 문제 해결수법의 하나로 물류센터에서는 주로 현상의 문제점을 정리하는데 이용됩니다. 메모지 1장에 문제점 1가지씩 기록한 뒤 이것을 모아 그룹화하여 공동과제별 분류를 통해 문제점을 정리하는 방법입니다. KJ법의 장점은 누구라도 참가가 쉬우며 정량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문제도 쉽게 정성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또 문제점 정리 외 물류센터 개선 or 新 물류센터 건립 시 반영하고 싶은 사항들도 기록하여 설계하는데 참조가 가능합니다. * KJ법 발상방법 1. 테마별로 KJ카드 위에 간결하게 아이디어를 기술합니다. 2. KJ카드를 모아서 동일 주제별로 분류합니다. 3. 동일한 뜻을 표현하고 있는 글은 삭제합니다. 4. 정리하는 도..
▣ Brain Storming * 1938년 미국의 광고대리점의 부사장이었던 A.F.오즈본에 의해 개발된 회의방식입니다. 브레인(두뇌)에서 스토밍(바람을 일으킨다, 공격한다.)한다는 것으로 집단의 효과를 살려서 착상(문제해결에 이르는 힌트)의 연쇄반응을 불러 일으킬 때의 연상작용을 이용하여 물류센터의 현상의 문제점이나 新 물류센터의 설계에 반영하고 싶은 내용 등을 추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습니다. ▣ Brain Storming 4가지 Rule 1. 타인이 제시한 의견에 대해 좋고 나쁨의 비판을 하지 않습니다. 2. 즐겁고 편안한 분위기로 고정 관념을 파괴하고, 자유분방을 환영합니다. 3. 서툰 철포도 여러 번 쏘면 맞는다는 식으로 양을 추구합니다. 4. 발표자의 연쇄반응에 의해 힌트를 점점 증가시키고 결합..
▣ 프랜차이즈 시스템(Franchise system) * 프랜차이즈 시스템은 프랜차이저가 프랜차이지에게 프랜차이저의 상호, 상표, 노하우 및 기타기업의운영방식을 사용하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프랜차이저는 본사, 본부, 가맹점주 등으로 부르고, 프랜차이지는 지점 혹은 가맹점이라고 부릅니다. 프랜차이지는 프랜차이저의 상호 등을 사용하는 권한을 갖기 위해서 가입금과 보증금과 로얄티 등을 지불합니다. 프랜차이저의 경영지도와 지원으로 양자 간 지속적 관계가 유지됩니다. 프랜차이저는 계약의 주체가 되며 프랜차이지를 모집해 사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프랜차이지를 선정하여 특정지역마다 사업의 동반자 혹은 대리인으로 영업할 권한을 허용합니다. * 프랜차이저(Franchisor..
▣ 재고관리 * 재고의 목적 : 효율성 극대화(생산 및 구매), 투자 최소화(안전재고 최소화, 최적화 오더수), 고객서비스 향상(정시 인도, 불확실성 대비, 다양성 제공)입니다. * 재고의 유형 : 원자재, 유지/보수자재, 재공품, 반제품, 완제품이 있습니다. * 재고발생이유 : 안전재고, 싸이클재고, 운송재고, 예상재고, 헷징재고, 공정분리재고가 있습니다. * 주문시기(When) : 독립수요(Independent Demand) - 재발주점(Re Order Point), 수요예측, 생산계획, 정기주기, 종속수요(Dependent Demand) - 자재소요계획(MRP)가 있습니다. * 주문량(How Many/Much) : 재고유지비용(Carrying Cost)과 주문비용(Ordering Cost)을 고려한..
▣ 공동물류 * 개요 : 물류시설을 공동으로 이용함으로써, 개별적으로 운영/유지할 때보다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이익을 올리려고 하는 물류합리화 방법입니다. ▣ 공동물류의 필요성 * 기업체간의 중복투자 증가 및 소형트럭의 운행증가와 공차율 증가합니다. * 물동량 증가에 따른 교통체증의 가속화와 환경오염이 됩니다. * 다품종 소량생산과 다빈도 소량주문에 따른 배송차량의 운행횟수 증가와 트럭적 효율이 저하됩니다. ▣ 공동물류시스템의 형태로는 수직적 공동화, 수평적 공동화, 경쟁사간 공동화, 동업자간 공동화, 지역적 집약화와 광역화, 물류와 판매의 공동화, 국제복합운송의 공동화가 있습니다. 사전준비작업으로 물류공동화 가능성 검토(문제점 정리, 참가 구성원에 대한 조건 정리), 참가 구성원들간의 의사통일(사무국..
▣ 물류센터란? * 각 공장에서 완성된 제품을 집약하는 시설로 물류흐름의 중추센터 기능을 수행합니다. 자사의 제품들을 한 곳에 보관했다가 방출하는 시설로 상품 경유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배송센터의 상품보충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물류센터의 작업흐름은 하역→입고→적치→보관→피킹→분류/포장→출고입니다. ▣ 물류센터의 역할과 기능 * 물류센터는 상물분리 하에 물류를 담당하며 고객만족을 위한 물류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물류센터는 판매지원 및 수급조정 기능, 과잉재고 및 재고편재 방지, 중복수송, 교차수송 방지, 물류채널의 일원화를 통한 효율성 제고의 기능이 있습니다. ▣ 물류센터터의 업무 수행 * 입고 : 하역, 포장해체, 입고검수의 범위로 물류센터에 도착한 제품의 하역과 입고를 위한 제품검수를 합니다. * 보관..
▣ 오더피킹과 시스템(Order Picking System) ① 수주 받은 물품을 창고재고에서 주문단위로 모아 출하하는 과정입니다. ② 주문에 따라 물품을 피킹, 정리, 포장, 배송지역별 분류, 상차와 주문처리 서류흐름 포함합니다. ③ 다품종 소량 출고작업증가로 중요성증대되고 있습니다.(Order Picking을 하면 작업시간(30~40%-유통창고작업), 노무비(40%), 창고운영비(60%) 효율이 있습니다.) ④ Order Picking 성력화 효과 작업시간 비용절감 납기단축/고객서비스향상됩니다. ⑤ 일정 시간 내 적은 노력으로 준비되는 방식입니다. ⑥ Picking 방식은 시스템의 출고 방식이며 시스템 전체 효율 좌우합니다. ▣ Order Picking의 방법 * Picker → 물품의 경우 ① Pi..
▣ 서비스 인카운터 (Service Encounter) * 서비스는 고객과 직접 접촉(Face-to-Face)하는 순간(Moment of Truth)으로써, 고객은 이 순간을 통해 서비스를 구매할 것인가를 결정합니다. * 이와 같이 고객과 서비스가 만나는 순간을 서비스 인카운터(Service Encounter)라고 합니다. * 서비스 인카운터가 서비스 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척도입니다. * 서비스 인카운터는 서비스 과업, 서비스 생산시스템, 서비스 표준의 결합으로 결정됩니다. * 훌륭한 서비스 제공자는 서비스 생산 시스템에 손상을 주지 않고 서비스 과업, 서비스 표준 및 서비스 인카운터가 최적화되도록 서비스를 단순하게 합니다. * 예) 맥도널드는 심야 판매를 강화하기 위해 피자공급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
▣ 하역(handling)의 개념 * 사내하역(Material Handling), 국내외 운송품, 수출기업 수출품 선적과 탑재를 위한 항만(Port Loading & Discharge), 공항, 철도 터미널 등의 역을 포함합니다. * 각종 운반수단에 화물을 싣고 부리는 것과 보관화물의 창고 내에서 쌓기와 내리기 또는 이에 부수되는 작업 총칭을 의미합니다. * 물품이 생산자에서 소비자까지 유통과정에서 포장, 보관, 운송전후로 필히 행해지는 활동입니다. * 하역합리화는 물류합리화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 하역의 범위는 운송기관(자동차, 철도화차, 선박, 항공기 등)에서 화물의 상/하차 작업, 운송기관 상호간 중계작업, 창고의 입출고작업 입니다. * 가장 낙후된 국내물류 활동, 인력 의존도 높은 분야,..
▣ 포장의 개념 * 물품생산 마지막단계에 위치하며 유통물류를 시작점에 위치하므로 생산과 유통물류의 접점, 화물유통에서 각 기능은 서로 밀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 어떤 포장을 하느냐가 물류의 효율화를 위해 중요합니다. * 일반적인 포장의 기능은 상품을 일정량으로 분할하여 유통하고, 유통과정에서 상품을 보호합니다. * 상품포장은 유통시키는 기능이 주체이며 겉포장, 공업포장은 상품을 보호하는 기능이 주체입니다. ▣ 포장의 기본조건 * 보관면 : 품질보호를 위한 적절강도/밀폐성/형상 등을 만족, 보관면적을 유효하게 활용,하역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하자/강도 고려합니다. * 운송면 : 운송 중 충격 및 적/양하시 화중을 견디는 강도의 필요합니다. 상품에 따라 물/습도/열/빛/진동 등 외부환경조건에서 차단/격..
▣ 수송의 기본 기능과 원칙 * 수송의 정의 : 수송은 자동차, 철도, 선박, 항공기 등의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사람이나 재화를 특정 장소로 이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 파이프 라인(Pipe line) : 석유, 천연가스, 화학품, 분말, 벌크류 등의 운송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운송 : 물품을 운반하여 이동하는 것입니다. * 운반 : 사람이나 화물을 운반하여 이동하는 것입니다. * 운수 : 사람과 화물을 철도, 자동차, 선박, 항공기로 운반하여 이동하는 것입니다. * 교통 : 사람의 왕래, 화물의 수송, 정보의 전달 등을 총칭 하는 것입니다. * 배송 : 물품을 전달함이며, 물품의 세부 배달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 수송 : 물품을 전달함이며, 물품의 대량 배달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 수송의..
▣ 복합운송의 개념 * 복합운송(Combined transport) 이란 운송업자가 인수한 물품을 출발지점에서 지정 인도지점까지 여러 종류의 수송수단을 연계한 복합적인 운송 계약에 의해 화물을 수송 하는 것을 말합니다. ▣ 복합운송의 장점 * 신속하고 체계적인 환적이 가능하므로 화물 할증료가 낮으며 인건비가 절감됩니다. * 전체적인 운송 에너지의 절감이 가능합니다. * 선하증권의 발급업무가 간소화 됩니다. * 통과 업무가 신속해지므로 창고저장으로 인한 운영비 지출을 감소 시킵니다. * 국제 규격의 컨테이너를 이용하므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운송 관리가 가능합니다. ▣ 복합운송이란 용어의 사용 * 처음 사용된 것은 1929년 와루소조약(Warsaw Convention:Convention for the Uni..